메뉴 건너뛰기

도서목록

근본 중송

원제목 mūamadyamakakārikā
시리즈 b판고전 21
출판일 2022-04-20
저역편자 용수 지음ㅣ신상환 옮김
출판사 도서출판 b
가격 13,000
도서규격 반양장본ㅣ130 x 190mm l 199쪽
ISBN 979-11-89898-72-4
구매처

근본 중송_앞표지.png

 

 

 

"주석서 ‘중론’이 아닌 원문 ‘근본 중송’을 음미한다”

 

 

1. 이 책의 소개

 

   용수의 <근본 중송>은 한역 경전권에 전해져온 <중론> 속의 게송 부분만을 가리킨다. <근본 중송>의 원제목은 ‘무라마디야마까까리까(mūamadyamakakārikā)’로, 이 책은 티벳역본인 ‘우마 짜와(dbu ma rtsa ba)’를 중관학을 연구하고 있는 신상환 박사가 직역한 것이다. 원제의 ‘까리까(kārikā)’는 노래인 송(頌)을 뜻한다. 소실된 것으로 알려졌으나 월칭(月稱, Chandrakīti)의 <근본 중송> 주석서인<쁘라산나빠다(Prasannapadā)>의 산스끄리뜨어본과 티벳역본에, 그리고 한역의 <중론>에 남아 있었다. 

   <중론>은 청목(靑目, Piṅala)이라는 신원 미상의 인물이 <근본 중송>에 주석을 단 것을 걸출한 역경사인 꾸마라지바(鳩摩羅什, Kumāajīa)가 한역한 책이다. 따라서 우리는 지금까지 노래를 풀어쓴 산문을 읽었지, 노래 그 자체를 읽지 않았다. 국내에도 여러 불교학자가 산스끄리뜨어와 한역 <중론>을 우리말로 옮기면서 정확한 의미 전달을 강조했을 뿐, 시의 다양한 해석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 그렇지만 원래 ‘논(論)’, 즉 ‘샤스뜨라(śātra)’는 부처님께서 직접 이르신 경(經, sūra)의 풀어쓴 글을 뜻한다. 

   중론은 그 내용이 너무 어려워서 여러 주석이 시대를 관통하며 이어져 왔고 우리가 지금까지 대했던 산문 <중론>도 여기에 든다. 이 책은 노래 자체를 읽기 위한 책이다. 역자는 “원래 게송으로 한역한 ‘슈로까(ślōka)’는 ‘시가(詩歌)’를, 그리고 까리까는 노래를 뜻하니 본래의 글맛인 독송은 노래로 읽고 그 느낌을 음미하는 것”이라며, “용수의 <근본 중송>은 원래 이런 목적으로 지어졌다”라고 말한다.  

   <근본 중송>은 1품 「연(緣)에 대한 고찰」에서 시작하여 ‘감각기관’ ‘시작과 끝’ ‘속박과 해탈’ ‘업(業)과 과보(果報)’ ‘시간’ ‘발생과 소멸’ ‘열반’ ‘십이연기(十二緣起)’등을 살펴가며 제27품 「그릇된 견해(邪見)에 대한 고찰」까지 이어져 있다. 

   각 게송에 게송의 올바른 이해를 위해 한자, 외래어 등의 불교 용어를 병기했다. 게송의 축약으로 인해 원문에서 생략된 문장이나 어절, 조사를 괄호에 넣었는데 덧붙여 읽음으로써 의미는 물론 시가의 흐름과 호흡이 살아나도록 노력했다.

 

 

2. 지은이/옮긴이 소개

 

용수(龍樹, Nāgārjuna, 150?-250?)

남인도 출생. 대승불교의 기틀인 공사상을 연구, 중관사상의 기초를 확립하였다. 그로 인해 제2의 붓다, 8종(八宗)의 조사(祖師), 대승불교의 아버지라고 일컫는다. <중론>, <회쟁론> 등의 중관사상이 담긴 주요 저서들과 <친구에게 보내는 편지>, <보행왕정론> 등 도덕률을 강조하는 저서들이 대승불교권에 전해져 온다.

신상환

1968년 전남 광양에서 태어나 1993년 아주대학교 환경공학과를 졸업하고 인도로 떠나 2013년에 영구 귀국하였다. 1980년대 학생 운동 후 인도로 떠나 타고르대학으로 알려진 비스바 바라띠대학에서 티벳어, 산스끄리뜨어 등의 언어를 공부하였고, 캘커타대학에서 용수보살의 중관사상을 전공하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비스바바라띠대학의 인도-티벳학과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티벳 스님 등에게 중관사상을 가르쳤다. 

현재 곡성 지산재에서 중관학당을 열어 중관사상 선양을 위한 역경(譯經)과 강의 등을 하고 있다. 저서로는 용수 보살의 중관사상에 대한 <용수의 사유>, 도법 스님과의 중도사상 대담집 <스님, 제 생각은 다릅니다>, 20년 인도 생활의 단상집인 <인도 수업>, 대표적인 역서로는 용수 보살의 6대 저작인 <중론(中論)>, <회쟁론(廻諍論)> 등의 모음인 <중관이취육론(中觀理聚六論)>이 있다.

 

 

3. 차례

 

책머리에 7

 

제1품 연에 대한 고찰 13

제2품 가고 오는 것에 대한 고찰 19

제3품 (육)근에 대한 고찰 27

제4품 (오)온에 대한 고찰 30

제5품 계에 대한 고찰 33

제6품 탐욕과 탐욕에 빠진 자에 대한 고찰 36

제7품 생기는 것과 머무는 것과 사라지는 것에 대한 고찰 40

제8품 행위와 행위자에 대한 고찰 51

제9품 선행 주체에 대한 고찰 56

제10품 불과 연료에 대한 고찰 60

제11품 시작과 끝에 대한 고찰 66

제12품 자신이 짓는 것과 타인이 짓는 것에 대한 고찰 69

제13품 형성 작용에 대한 고찰 73

제14품 결합에 대한 고찰 76

제15품 자성에 대한 고찰 79

제16품 속박과 해탈에 대한 고찰 83

제17품 업과 과보에 대한 고찰 87

제18품 아와 법에 대한 고찰 98

제19품 시간에 대한 고찰 103

제20품 (인과 연의) 결합에 대한 고찰 106

제21품 발생과 소멸에 대한 고찰 114

제22품 여래에 대한 고찰 121

제23품 전도에 대한 고찰 127

제24품 (사)성제에 대한 고찰 135

제25품 열반에 대한 고찰 147

제26품 십이연기에 대한 고찰 155

제27품 그릇된 견해에 대한 고찰 159

 

|부록|오늘, 왜 중도철학이 필요한가? 169

|찾아보기| 194

 

 

4. 책 속에서

  

[192 (15-6)] 

어떤 (사태의) 자성(과) 다른 사태의 (자성) 그리고

사태와 사태가 아닌 것 자체가 (존재한다고) 간주하는 자(들)은

그들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그 자체를 보지 못한다. 

─제15품 자성에 대한 고찰(80쪽)

 

[152 (10-16)] 

어떤 이들은 아我[ātman]와 사태들의

동일성과 차이성을 

가르치는데 ‘(나는 그들이 부처님께서) 가르치신 그것들의 (진정한) 의미를

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제10품 불과 연료에 대한 고찰(64-65쪽)

 

[352 (24-8)] 

부처님들께서 (행하신) 법에 대한 가르침[敎法]은

이제二諦에 근거를 두고 있다. 

세간의 진리[俗諦]와

수승한 의미의 진리[眞諦]다.

 

[353 (24-9)]  

어떤 이들이 그 두 (가지) 진리의 

구별에 대해서 이해하지 못한다(면)

그들은 바로 그 부처님께서 가르쳐주신 것[佛法](의)

심오한 (진리) 그 자체를 이해하지 못한다. 

 

[354 (24-10)] 

바로 그 (세간의) 언어에 의지하지 않고서는

진제眞諦는 가르쳐질 수 없다.

바로 그 진제眞諦를 알지 못하고서는 

열반은 얻어지지 않는다. 

─제24품 (사)성제에 대한 고찰(137-138쪽)

 


  1. 흡혈귀

    아케치 고고로 사건수첩 7

    吸血鬼

    에도가와 란포 지음ㅣ이종은 옮김

    2022-11-10

    반양장본ㅣ130 x 190mm l 365쪽

    14,000

    7

    Read More
  2. 뉴래디컬리뷰 2023. 봄

    뉴래디컬리뷰

    지은이: 김주희, 정용택, 김용창, 이승철, 권창규, 김도균, 김종철, 최진석, 이성백, 정재훈, 정재원, 김상혁, 김시온, 남승원, 이재의, 고영란, 이택광, 윤인로 ㅣ 엮은이: 도서출판 b 편집부

    2023-03-15

    130 x 190mm l 334쪽

    15,000

    7

    Read More
  3. 최후의 인간

    비판세계문학 05

    Le Dernier Homme

    장-바티스트 쿠쟁 드 그랭빌

    2022-10-14

    양장본ㅣ130 x 190mm l 336쪽

    18,000

    6

    Read More
  4. 뉴 래디컬 리뷰 2022. 겨울

    6호

    이유철, 정재훈, 김종곤, 장희경, 백지운, 디디, 이마마사 하지메, 최갑수, 고병권, 김효영, 복도훈, 김학중, 김미정, 허요한, 권두현, 김주희, 주현, 박영균, 이성민, 박준영, 최진석

    2022-12-15

    130 x 190mm l 390쪽

    15,000

    6

    Read More
  5. 엇배기 농사꾼의 늙은 꿈

    b판시선 058

    신언관 시집

    2023-03-30

    반양장본ㅣ124 x 194mm l 151쪽

    12,000

    58

    Read More
  6. 저녁의 신

    b판시선 057

    이학성 시집

    2023-03-16

    반양장본ㅣ124 x 194mm l 143쪽

    12,000

    57

    Read More
  7. "전쟁 중이니 강간은 나중에 얘기하자?"

    b판시선 056

    하종오

    2023-02-24

    반양장본ㅣ124 x 194mm l 143쪽

    12,000

    56

    Read More
  8.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내려온 달빛

    b판시선 055

    윤재철 지음

    2023-01-20

    반양장본ㅣ124 x 194mm l 109쪽

    12,000

    55

    Read More
  9. 푸른 독을 품는 시간

    b판시선 54

    유종 시집

    2022-12-01

    반양장본ㅣ124 x 194mm l 133쪽

    12,000

    54

    Read More
  10. 콜센터 유감

    b판시선 053

    최세라

    2022-09-28

    반양장본ㅣ124 x 194mm l 143쪽

    12,000

    53

    Read More
  11. 겨울이 복도처럼 길어서

    b판시선 052

    이기린 시집

    2022-09-26

    반양장본ㅣ124 x 194mm l 142쪽

    12,000

    52

    Read More
  12. 악질가

    b판시선 51

    하종오 판소리체시집

    2022 문학나눔 선정

    2022-08-22

    반양장본 l 124 x 194mm l 172쪽

    12,000

    51

    Read More
  13. 나이테의 무게

    b판시선 50

    김영언 지음

    2022-05-03

    반양장본ㅣ124 x 194mm l 157쪽

    10,000

    50

    Read More
  14. 바깥의 문학

    트랜스필 총서 5

    송승환, 이진경, 진은영, 최진석 지음 ㅣ 송승환 엮음

    2022-05-30

    반양장본ㅣ130 x 190mm l 253쪽

    14,000

    5

    Read More
  15. 뉴 래디컬 리뷰 2022. 가을

    제5호

    김대현, 최진석, 황규관, 박인성, 인아영, 이성혁, 오혜진, 하민지, 유진우, 이광일, 이유철, 신승철, 최소연, 김주희, 안진국, 전승민, 전의령, 정희진, 김대근, 윤수종

    2022-09-15

    130 x 190mm l 399쪽

    15,000

    5

    Read More
  16. 은목서 피고 지는 조울의 시간 속에서

    b판시선 049

    박두규 지음

    2022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학나눔 선정

    2022-02-18

    반양장본ㅣ124 x 194mm l 109쪽

    10,000

    49

    Read More
  17. 그 모퉁이 자작나무

    b판시선 048

    윤재철

    2022 세종도서 선정

    2021-11-30

    반양장본 | 124 X 194mmㅣ151쪽

    10,000

    48

    Read More
  18. 뉴래디컬리뷰 2022. 여름

    제4호

    정용택, 이나미, 류진희, 김효영, 홍현서, 이성철, 듀선생, 송경동, 김대현, 이혜정, 최진석, 황재민, 김만석, 김미정, 백지은, 조기조, 김정한, 김형중, 정재원 지음ㅣ도서출판 편집부 엮음

    2022-06-15

    130 x 190mm l 343쪽

    15,000

    4

    Read More
  19. 달 아주머니와 나

    서성란 장편소설

    2022-07-25

    반양장본ㅣ130 x 190mm l 268쪽

    15,000

    4

    Read More
  20. 뉴래디컬리뷰 2022. 봄호

    제3호

    최진석, 신현우, 이소진, 이승준, 정강산, 장민지, 김대현, 김미정, 김영옥, 김주희, 황병주, 이유철, 한영인, 홍혜은, 오창룡, 남미자, 이은지, 김효영, 이 소, 이나라, 장정일, 최유미 지음 ㅣ 도서출판 b 편집부 엮음

    2022-03-15

    130 x 190mm l 399쪽

    15,000

    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5 Next
/ 1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