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도서목록

문학론집

시리즈 가라타니 고진 컬렉션 19
출판일 2021-03-25
저역편자 가라타니 고진 지음ㅣ고은미 옮김
출판사 도서출판 b
가격 26,000
도서규격 양장본 | 140x210mm | 428쪽
ISBN 979-11-89898-47-2
구매처

k522730485_1.jpg

 

■  이 책의 소개

 
“근대문학의 기원에서 종언까지의
가라타니 고진 정본 문학론”
 
가라타니 고진 컬렉션 19권으로 ≪문학론집≫이 출간되었다. 이 책은 ≪定本柄谷行人文学論集≫(岩波書店, 2016)을 완역한 것이다. 가라타니 고진은 1969년 문학비평가로 활동하기 시작한 이래 많은 문학비평을 해왔는데 “독자들의 수고를 덜기 위해 문학비평을 한 권으로 정리”한 것이라고 한다.
이 책의 편집 체제는 2부로 나뉘어 있다. 제1부는 1960년대 후반부터 1975년경까지의 글 중에서 선별되었다. 가라타니가 “실질적으로 비평가로서 활동한 것은 1973년까지”라고 말한 시기의 글이다. 제2부는 1985년부터 2005년까지의 글 중에서 선별되었다. 이 책 제1부의 글들은 가라타니가 문학비평가로서 활발하고 의기 왕성하게 문학의 열정을 내뿜고 있었던 시기에 씌어진 것들이고, 제2부의 글들은 문학비평가에서 사상가로 변모해가던 시기의 글이어서 그런지 문학에 대하여 부정적이며 음침하게 가라앉아 있는 듯 보인다. 제1부와 제2부의 사이에 약 10여 년의 공백이 있는데 이 시기에 쓴 글은 이 책에서 제외되었다.
그 시기는 미국 예일대에 강의를 하며 ≪일본근대문학의 기원≫, ≪마르크스 그 가능성의 중심≫ 등을 쓴 시기이다. 가라타니가 “어떤 사물의 기원이 보이기 시작하는 것은 그것이 끝날 때이다. 30년 전 일본근대문학의 기원을 썼을 때 나는 일본근대문학의 종언을 느끼고 있었다”라고 하는 말에서 그 차이와 의미를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제1부의 글에서도, 가라타니가 자신의 최초의 문학비평이라고 말하며 이 책의 맨 처음에 배치한 「≪알렉산드리아 사중주≫의 변증법」(1967)에서도 이미 어떤 의미에서는 ‘근대문학의 종언’이 논해지고 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도 있을 것이다.
가라타니가 ‘근대문학의 종언’을 말했지만 그것이 곧 ‘문학의 종언’은 아니었다. 그것은 다른 ‘문학의 가능성’을 품은 어떤 것이었다고 해도 좋을 것이다. 소위 ‘포스트모던’이라 불리는 소설들이 그것들이었을 것이다. 동시대의 그러한 문학의 동향을 보면서 가라타니는 ≪일본근대문학의 기원≫을 썼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이 말은 곧 가라타니 고진의 문학론은 ‘근대문학의 종언’과 동시에 새로운 ‘그 가능성의 중심’을 확인하는 작업이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은 문학비평가로 출발해서 사상가로서의 글쓰기로 이동하는 형식과도 궤도를 같이한다. 사상가로서의 글쓰기가 좁은 의미에서의 문학비평과는 동떨어진 것이라고 할 수도 있지만, 가라타니 자신은 “그러한 작업을 문학비평으로 간주하고 있었”다고 말하고 있다.
한편, 이 ≪문학론집≫은 서문을 제외하고 총 12편이 수록되어 있는데 제1부의 6편은 ‘글’로, 제2부는 6편은 ‘말’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 흥미롭다. 논문의 형식으로 이루어진 글과 강연의 형식으로 이루어진 말이 교묘하게 조화를 이루면서 문학에 대한 종합적인 통찰력을 보여주고 있다.
 
■  지은이 소개 
 
가라타니 고진 柄谷行人 Karatani Kojin
일본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사상가, 비평가. 지은 책으로 『세계공화국으로』, 『역사와 반복』 『트랜스크리틱』, 『세계사의 구조』, 『철학의 기원』, 『자연과 인간』, 『제국의 구조』, 『헌법의 무의식』, 『문자와 국가』, 『윤리 21』, 『유동론』, 『일본근대문학의 기원』, 『근대문학의 종언』, 『문학론 집성』, 『나쓰메 소세키론 집성』, 『세계사의 실험』 외에 다수가 있다.
최근작 : <나쓰메 소세키론 집성>,<문학론집>,<세계사의 실험> … 총 124종
 
고은미
영화/이미지 연구자. 리츠메이칸대학 코리아연구센터 객원연구원. 동아대에서 일본 감독 오시마 나기사의 60년대 영화들에 나타난 타자성에 대한 박사논문을 썼고, 영화와 인문학에 관해 강의하면서 홀로코스트의 표상과 일본 사회파 영화에 관심을 두고 공부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가라타니 고진의 『문학론집』이 있고, 5권의 공동비평집을 냈다.
최근작 : <과잉과 축소>,<1980년대를 읽다> … 총 4종
 
■  차례 
 
서문 7
 
제1부
<알렉산드리아 사중주>의 변증법 23
소세키 시론―의식과 자연 57
의미라는 병―맥베스론 121
역사와 자연―모리 오가이론 177
사카구치 안고의 <일본 문화 사관>에 대하여 241
역사에 대하여―다케다 다이준 295
 
제2부
소세키의 다양성 319
사카구치 안고 그 가능성의 중심 339
꿈의 세계―시마오 도시오 361
나카가미 겐지와 포크너 379
번역자, 후타바테이 시메이 395
문학의 쇠멸 409
 
ㅣ옮긴이 후기ㅣ 423
ㅣ초출 및 저본 일람ㅣ 427
 
■  책 속에서 
 
"예술에서 고전이라는 것은 의식적으로 당대의 우주론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것"이라고 로렌스 더럴은 쓰고 있다.
 
■  지은이의 말
 
가라타니 고진(지은이)의 말
나는 1969년에 문학비평가로 활동하기 시작한 이래 십여 권의 책을 냈다. 하지만 <일본근대문학의 기원>(1980)을 쓴 이후로는 서서히 현장에서 멀어져 사상가로서의 작업에 전념하게 되었다. 요즘 내 책을 읽는 사람들 대부분은 내가 문학비평가였다는 사실을 알고는 있어도 내 문학비평을 읽은 적은 없을 것이다. 설령 읽었다고 할지라도 그것은 내가 과거에 무엇을 생각하고 있었는가를 알기 위해서이지 문학비평 자체에 대한 관심 때문이라고 생각하기는 어렵다. 나는 그러한 독자들의 수고를 덜기 위해 문학비평을 한 권으로 정리해두고 싶다고 예전부터 생각해왔다.
 
역자후기
이 책은 가라타니 고진이 문학평론가로 정식 데뷔하기 전에 쓴 석사논문부터 최근의 강연에 이르기까지, 약 40년 동안의 문학비평 작업 중에서 직접 선정한 12편을 개정하여 정본화한 평론집이다. 이 책의 1부에 실린 여섯 편은 처음부터 ‘글’로 작성된 것이고, 2부의 여섯 편은 ‘말’을 정리한 것이다. 말과 글이라는 상황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나쓰메 소세키, 모리 오가이, 사카구치 안고, 나카가미 겐지, 시마오 도시오, 다케다 다이준, 후타바테이 시메이 등 일본문학에서 각기 고유한 특이성을 지시하는 작가들과 <알렉산드리아 사중주>, <맥베스>, <압살롬, 압살롬!> 등 대단히 이질적으로 보이는 텍스트들로부터 공통적이고 예각화된 역사/현실 인식을 발굴하고 재조직하는 가라타니의 감식안이 여실히 확인된다. 로렌스 더럴에서 시작해 소세키로 끝나는 이 책의 배치와 구도를 관통하는 두 가지, 즉 ‘근대문학의 종언’과 ‘그 가능성의 중심’을 확인하는 작업은 여전히 뜻있는 일이 될 것이다.

  1. 흡혈귀

    아케치 고고로 사건수첩 7

    吸血鬼

    에도가와 란포 지음ㅣ이종은 옮김

    2022-11-10

    반양장본ㅣ130 x 190mm l 365쪽

    14,000

    7

    Read More
  2. 뉴래디컬리뷰 2023. 봄

    뉴래디컬리뷰

    지은이: 김주희, 정용택, 김용창, 이승철, 권창규, 김도균, 김종철, 최진석, 이성백, 정재훈, 정재원, 김상혁, 김시온, 남승원, 이재의, 고영란, 이택광, 윤인로 ㅣ 엮은이: 도서출판 b 편집부

    2023-03-15

    130 x 190mm l 334쪽

    15,000

    7

    Read More
  3. 최후의 인간

    비판세계문학 05

    Le Dernier Homme

    장-바티스트 쿠쟁 드 그랭빌

    2022-10-14

    양장본ㅣ130 x 190mm l 336쪽

    18,000

    6

    Read More
  4. 뉴 래디컬 리뷰 2022. 겨울

    6호

    이유철, 정재훈, 김종곤, 장희경, 백지운, 디디, 이마마사 하지메, 최갑수, 고병권, 김효영, 복도훈, 김학중, 김미정, 허요한, 권두현, 김주희, 주현, 박영균, 이성민, 박준영, 최진석

    2022-12-15

    130 x 190mm l 390쪽

    15,000

    6

    Read More
  5. 엇배기 농사꾼의 늙은 꿈

    b판시선 058

    신언관 시집

    2023-03-30

    반양장본ㅣ124 x 194mm l 151쪽

    12,000

    58

    Read More
  6. 저녁의 신

    b판시선 057

    이학성 시집

    2023-03-16

    반양장본ㅣ124 x 194mm l 143쪽

    12,000

    57

    Read More
  7. "전쟁 중이니 강간은 나중에 얘기하자?"

    b판시선 056

    하종오

    2023-02-24

    반양장본ㅣ124 x 194mm l 143쪽

    12,000

    56

    Read More
  8.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내려온 달빛

    b판시선 055

    윤재철 지음

    2023-01-20

    반양장본ㅣ124 x 194mm l 109쪽

    12,000

    55

    Read More
  9. 푸른 독을 품는 시간

    b판시선 54

    유종 시집

    2022-12-01

    반양장본ㅣ124 x 194mm l 133쪽

    12,000

    54

    Read More
  10. 콜센터 유감

    b판시선 053

    최세라

    2022-09-28

    반양장본ㅣ124 x 194mm l 143쪽

    12,000

    53

    Read More
  11. 겨울이 복도처럼 길어서

    b판시선 052

    이기린 시집

    2022-09-26

    반양장본ㅣ124 x 194mm l 142쪽

    12,000

    52

    Read More
  12. 악질가

    b판시선 51

    하종오 판소리체시집

    2022 문학나눔 선정

    2022-08-22

    반양장본 l 124 x 194mm l 172쪽

    12,000

    51

    Read More
  13. 나이테의 무게

    b판시선 50

    김영언 지음

    2022-05-03

    반양장본ㅣ124 x 194mm l 157쪽

    10,000

    50

    Read More
  14. 바깥의 문학

    트랜스필 총서 5

    송승환, 이진경, 진은영, 최진석 지음 ㅣ 송승환 엮음

    2022-05-30

    반양장본ㅣ130 x 190mm l 253쪽

    14,000

    5

    Read More
  15. 뉴 래디컬 리뷰 2022. 가을

    제5호

    김대현, 최진석, 황규관, 박인성, 인아영, 이성혁, 오혜진, 하민지, 유진우, 이광일, 이유철, 신승철, 최소연, 김주희, 안진국, 전승민, 전의령, 정희진, 김대근, 윤수종

    2022-09-15

    130 x 190mm l 399쪽

    15,000

    5

    Read More
  16. 은목서 피고 지는 조울의 시간 속에서

    b판시선 049

    박두규 지음

    2022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학나눔 선정

    2022-02-18

    반양장본ㅣ124 x 194mm l 109쪽

    10,000

    49

    Read More
  17. 그 모퉁이 자작나무

    b판시선 048

    윤재철

    2022 세종도서 선정

    2021-11-30

    반양장본 | 124 X 194mmㅣ151쪽

    10,000

    48

    Read More
  18. 뉴래디컬리뷰 2022. 여름

    제4호

    정용택, 이나미, 류진희, 김효영, 홍현서, 이성철, 듀선생, 송경동, 김대현, 이혜정, 최진석, 황재민, 김만석, 김미정, 백지은, 조기조, 김정한, 김형중, 정재원 지음ㅣ도서출판 편집부 엮음

    2022-06-15

    130 x 190mm l 343쪽

    15,000

    4

    Read More
  19. 달 아주머니와 나

    서성란 장편소설

    2022-07-25

    반양장본ㅣ130 x 190mm l 268쪽

    15,000

    4

    Read More
  20. 뉴래디컬리뷰 2022. 봄호

    제3호

    최진석, 신현우, 이소진, 이승준, 정강산, 장민지, 김대현, 김미정, 김영옥, 김주희, 황병주, 이유철, 한영인, 홍혜은, 오창룡, 남미자, 이은지, 김효영, 이 소, 이나라, 장정일, 최유미 지음 ㅣ 도서출판 b 편집부 엮음

    2022-03-15

    130 x 190mm l 399쪽

    15,000

    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5 Next
/ 1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