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도서목록

난쟁이

시리즈 아케치 고고로 사건수첩 2
출판일 2018-09-15
저역편자 에도가와 란포 지음ㅣ이종은 옮김
출판사 도서출판 b
가격 12,000
도서규격 287쪽 | 130 X 190mm
ISBN 979-11-87036-72-2
구매처

15426068594302A_300.jpg

 

■  이 책을 발행하며

 

“고바야시 몬조는 어느 날 밤 아사쿠사 공원에서 한 난쟁이를 목격한다. 그런데 그가 품에서 떨어뜨린 꾸러미에는 푸르스름하게 변한 사람 팔이 들어 있었는데…….”

 

도서출판 b에서 일본 추리소설의 아버지로 불리는 에도가와 란포의 작품 중 아케치 고고로가 등장하는 작품만을 16권으로 집대성한 [아케치 고고로 사건수첩] 시리즈를 출간한다. 요코미조 세이시의 긴다이치 고스케와 함께 일본의 대표적인 명탐정으로 일컬어지는 아케치 고고로는 에도가와 란포가 창조한 동양 최초의 탐정 캐릭터이다. 1925년 「D자카 살인사건」에서 일개 서생으로 처음 등장한 이후 1955년 「그림자남」에 이르기까지 에도가와 란포가 지속적으로 집필한 아케치 고고로 시리즈는 성인 독자들 뿐 아니라 어린 독자들을 대상으로 한 소년탐정단 시리즈까지 그 영역을 확대하였으며, 시대를 막론하고 일본 내에서 대중적인 인기를 구가하였다. 도서출판 b의 [아케치 고고로 사건수첩 시리즈]는 바로 그 유명한 아케치 고고로의 활약상을 사건 발생 순서에 따라 엮었다.

“에도가와 란포 자신이 어떻게 생각하든 주옥같은 초기 작품들은 일본추리소설사에 불멸의 가치를 남겼다. 그 작품들이 가진 가치는 비단 추리문학사에 한정되지 않는 영원불변의 것이다.”

 

에도가와 란포 작품 중에는 스스로의 혹평과는 달리 대중적으로 큰 인기를 얻은 작품도 있고, 스스로는 만족했으나 평단의 평가는 좋지 않은 작품도 있었지만, 일본을 대표하는 사회파 추리작가인 마츠모토 세이초의 말처럼 그의 작품들이 일본 추리소설사에 불멸의 가치를 남긴 것만은 부정할 수 없다.

 

아케치 고고로 탐정수첩 제2권에 수록된 두 작품 중「난쟁이」가 전자에 속한다면「누구」는 후자에 속한다. 고바야시 몬조는 어느 날 밤 아사쿠사 공원에서 발견한 난쟁이가 푸르스름하게 변한 사람 팔을 떨어뜨리는 것을 목격한다. 그 무렵 사업가 야마노 다이고로의 딸인 미치코가 행방불명되고, 고바야시 몬조의 소개로 아케치 고고로는 이 사건의 진상을 조사한다. 서생 시절을 마감하고 상하이로 떠났던 탐정 아케치 고고로의 본격적인 활약상을 보여주는「난쟁이」는 시리즈 탐정물로서의 가능성을 엿본 작품인 동시에 에도가와 란포의 창작활동의 분기점이 되는 작품이기도 하다. 에도가와 란포는 「난쟁이」에서 수수께끼 풀이가 중심인 전작들에 비해 탐정 아케치의 활약에 많은 지면을 할애할 뿐 아니라 기괴함과 엽기성, 그리고 에로티시즘까지 가미한 새로운 경향의 탐정소설을 시도하고 있다.

 

이에 반해 「누구」는 「난쟁이」보다 시기적으로는 나중 작품이지만, 초기작과 같이 속임수 없는 트릭과 논리적인 추리를 바탕으로 수수께끼 풀이를 추구하였다. 한마디로 에도가와 란포 본격추리의 결정판이라고 할 수 있는 「누구」는 그런 점에서 에도가와 란포가 자신의 작품을 다음 단계로 이행시키기 위해 전작들에 보내는 고별사로도 읽힌다.

 

■  지은이 소개

 

• 에도가와 란포(江戸川乱歩, 1894~1965)

일본 미에(三重)현 출생. 본명은 히라이 타로(平井太郎). ‘에도가와 란포’는 에드거 앨런 포에서 착안한 필명이다. 어린 시절부터 국내외 추리소설, 그중에서도 특히 영미계 탐정소설에 심취하였으며, 1923년 ≪신청년≫에 단편소설 「2전짜리 동전」을 발표함으로써 추리작가로 데뷔했다. 1925년 「D자카 살인사건」에서 첫선을 보인 탐정 아케치 고고로가 큰 인기를 얻자 꾸준히 그가 등장하는 소설을 집필했다. 본격추리소설 외에 괴기와 엽기, 에로티시즘, 환상성, 초자연성, 잔학성 등이 부각되는 작품들을 쓰는 한편, [소년탐정단] 시리즈 등도 꾸준히 발표하여 성인독자는 물론 어린독자의 절대적인 지지를 얻게 된다. 에도가와 란포가 평생에 걸쳐 쓴 작품들은 그 자체가 일본추리소설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는 창작 활동 외에도 평론 등을 통해 해외 추리소설을 일본에 소개하였으며, 일본탐정작가클럽을 창설하고 ‘에도가와 란포 상’을 만들어 신인작가를 발굴하는 등 일본 추리소설의 저변을 크게 확대시켰다. 이런 이유로 오늘날 그는 명실상부한 일본 추리소설의 아버지로서 칭송받고 있다.

 

• 이종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와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상이론과(전문사 과정)를 졸업했다. 영화전문지 ≪키노≫에서 기자로 일했으며, 「90년대 한국, 그 욕망의 투사」(≪한국형 블록버스터, 아틀란티스 혹은 아메리카≫), 「일촉즉발 도래청년」(≪한국 뉴웨이브의 정치적 기억≫) 등의 글을 썼다.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번역학과(석사 과정)를 수료했다.

 

■  차례

 

난쟁이 7

누구 183

 

작가의 말 259

옮긴이의 말 277

작가 연보 281

 

■  본문에서

 

몬조는 아케치가 일부러 모호하게 말하며 그를 약 올리고 있는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 그때 문득 전에 보았던 난쟁이의 흉측한 모습이 떠올랐다. 그 무렵 그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사실에 봉착하면 바로 그 기형아를 떠올리게 되었다. (p. 117)

 

나도 알고 있어. 불행히도 이런 몸으로 태어나는 바람에 천성이 삐뚤어져서 미친 거야. 항간의 멀쩡한 것들이 전부 미워 죽겠어. 나한테는 원수나 다름없는 놈들이야. 너니까 말하는 거야, 아무한테도 말하면 안 돼. 나는 앞으로 더욱더 나쁜 짓을 할 작정이야. 운이 나빠 붙잡힐 때까지는 내 힘으로 할 수 있는 만큼 다할 거야 (p. 125~126)

 

음악가가 불협화음에 민감한 것처럼 탐정은 사실의 부조화에 민감할 필요가 있는지도 모릅니다. 종종 사소한 부조화의 발견이 추리의 출발점이 되기 때문이죠. (p. 167)

 

범인은 당신입니다. (p. 253)

 

당신은 아케치 고고로가 논리만 따진다고 말씀하셨죠? 하지만 그런 내가 소설가의 공상보다는 실질적이라는 것은 아시겠지요. ……그럼 안녕히 계십시오. (p. 257)

 

■  옮긴이의 말

 

에도가와 란포의 화자들처럼 말하자면 「난쟁이」를 번역하는 과정은 매우 ‘묘한’ 체험이었다. 문장이 쌓여 하나의 단락이 되어 이야기를 구성하는 방식이 (변사 없는 서구) 무성영화가 연상되었기 때문이다. 「난쟁이」 이전의 초기 단편들이 ‘이야기’의 화법이라면 「난쟁이」는 이야기가 시각적으로 구조화되어 있어, 읽다보면 눈앞에 영화 같은 장면이 펼쳐지는 것 같았다. 자신의 주인공들처럼 이색적인 쾌락을 찾아다니는 ‘엽기자’답게, 그리고 탐정소설만큼이나 환등기를 비롯하여 여러 광학적 기기들을 탐닉하던 ‘렌즈 박사’ 란포에게 영화라는 시각적 쾌락은 큰 매혹이었을 것이다. 그래서 그 판타지적 측면을 「파노라마 기담」에 아낌없이 담았다면, 「난쟁이」에서는 모험활극의 서스펜스적인 요소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는지도 모른다.

또한 「난쟁이」가 매혹적인 것은 아사쿠사 때문이다. 초반부에 고바야시 몬조가 아사쿠사 공원을 지나는 장면을 읽노라면 일종의 ‘산책자의 풍경’이 연상된다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물론 그 시간은 오래 지속되지 않으며 거기서 난쟁이가 발견되는 순간, 「천장 위의 산책자」의 사부로가 말했던 것처럼 범죄애호자들이 더할 나위 없이 사랑하는 무대로 변하지만 말이다. 「아사쿠사 취미」라는 수필에서도 애정을 고백했듯이 에도가와 란포는 종종 작품 속에 아사쿠사를 등장시키는데, 그중에서도 국면에 따라 그 얼굴을 달리하는 「난쟁이」의 아사쿠사는 참 절묘했다.

 

■  추천사

 

외국 작품에 견줄 수 있는 일본 탐정소설의 출현을 애타게 기다렸다. 그런데 갑자기 훌륭한 작품이 등장했다. 진정으로 외국 작품과 견줄 수 있는, 아니 어떤 의미에서 더 뛰어난 창작소설이 탄생한 것이다. 에도가와 란포의 작품이 바로 그것이다. -고사카이 후보쿠

 

에도가와 란포 자신이 어떻게 생각하든 주옥같은 초기 작품들은 일본추리소설사에 불멸의 가치를 남겼다. 그 작품들이 가진 가치는 비단 추리문학사에 한정되지 않는 영원불변의 것이다. -마쓰모토 세이초


  1. 흡혈귀

    아케치 고고로 사건수첩 7

    吸血鬼

    에도가와 란포 지음ㅣ이종은 옮김

    2022-11-10

    반양장본ㅣ130 x 190mm l 365쪽

    14,000

    7

    Read More
  2. 뉴래디컬리뷰 2023. 봄

    뉴래디컬리뷰

    지은이: 김주희, 정용택, 김용창, 이승철, 권창규, 김도균, 김종철, 최진석, 이성백, 정재훈, 정재원, 김상혁, 김시온, 남승원, 이재의, 고영란, 이택광, 윤인로 ㅣ 엮은이: 도서출판 b 편집부

    2023-03-15

    130 x 190mm l 334쪽

    15,000

    7

    Read More
  3. 최후의 인간

    비판세계문학 05

    Le Dernier Homme

    장-바티스트 쿠쟁 드 그랭빌

    2022-10-14

    양장본ㅣ130 x 190mm l 336쪽

    18,000

    6

    Read More
  4. 뉴 래디컬 리뷰 2022. 겨울

    6호

    이유철, 정재훈, 김종곤, 장희경, 백지운, 디디, 이마마사 하지메, 최갑수, 고병권, 김효영, 복도훈, 김학중, 김미정, 허요한, 권두현, 김주희, 주현, 박영균, 이성민, 박준영, 최진석

    2022-12-15

    130 x 190mm l 390쪽

    15,000

    6

    Read More
  5. 엇배기 농사꾼의 늙은 꿈

    b판시선 058

    신언관 시집

    2023-03-30

    반양장본ㅣ124 x 194mm l 151쪽

    12,000

    58

    Read More
  6. 저녁의 신

    b판시선 057

    이학성 시집

    2023-03-16

    반양장본ㅣ124 x 194mm l 143쪽

    12,000

    57

    Read More
  7. "전쟁 중이니 강간은 나중에 얘기하자?"

    b판시선 056

    하종오

    2023-02-24

    반양장본ㅣ124 x 194mm l 143쪽

    12,000

    56

    Read More
  8.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내려온 달빛

    b판시선 055

    윤재철 지음

    2023-01-20

    반양장본ㅣ124 x 194mm l 109쪽

    12,000

    55

    Read More
  9. 푸른 독을 품는 시간

    b판시선 54

    유종 시집

    2022-12-01

    반양장본ㅣ124 x 194mm l 133쪽

    12,000

    54

    Read More
  10. 콜센터 유감

    b판시선 053

    최세라

    2022-09-28

    반양장본ㅣ124 x 194mm l 143쪽

    12,000

    53

    Read More
  11. 겨울이 복도처럼 길어서

    b판시선 052

    이기린 시집

    2022-09-26

    반양장본ㅣ124 x 194mm l 142쪽

    12,000

    52

    Read More
  12. 악질가

    b판시선 51

    하종오 판소리체시집

    2022 문학나눔 선정

    2022-08-22

    반양장본 l 124 x 194mm l 172쪽

    12,000

    51

    Read More
  13. 나이테의 무게

    b판시선 50

    김영언 지음

    2022-05-03

    반양장본ㅣ124 x 194mm l 157쪽

    10,000

    50

    Read More
  14. 바깥의 문학

    트랜스필 총서 5

    송승환, 이진경, 진은영, 최진석 지음 ㅣ 송승환 엮음

    2022-05-30

    반양장본ㅣ130 x 190mm l 253쪽

    14,000

    5

    Read More
  15. 뉴 래디컬 리뷰 2022. 가을

    제5호

    김대현, 최진석, 황규관, 박인성, 인아영, 이성혁, 오혜진, 하민지, 유진우, 이광일, 이유철, 신승철, 최소연, 김주희, 안진국, 전승민, 전의령, 정희진, 김대근, 윤수종

    2022-09-15

    130 x 190mm l 399쪽

    15,000

    5

    Read More
  16. 은목서 피고 지는 조울의 시간 속에서

    b판시선 049

    박두규 지음

    2022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학나눔 선정

    2022-02-18

    반양장본ㅣ124 x 194mm l 109쪽

    10,000

    49

    Read More
  17. 그 모퉁이 자작나무

    b판시선 048

    윤재철

    2022 세종도서 선정

    2021-11-30

    반양장본 | 124 X 194mmㅣ151쪽

    10,000

    48

    Read More
  18. 뉴래디컬리뷰 2022. 여름

    제4호

    정용택, 이나미, 류진희, 김효영, 홍현서, 이성철, 듀선생, 송경동, 김대현, 이혜정, 최진석, 황재민, 김만석, 김미정, 백지은, 조기조, 김정한, 김형중, 정재원 지음ㅣ도서출판 편집부 엮음

    2022-06-15

    130 x 190mm l 343쪽

    15,000

    4

    Read More
  19. 달 아주머니와 나

    서성란 장편소설

    2022-07-25

    반양장본ㅣ130 x 190mm l 268쪽

    15,000

    4

    Read More
  20. 뉴래디컬리뷰 2022. 봄호

    제3호

    최진석, 신현우, 이소진, 이승준, 정강산, 장민지, 김대현, 김미정, 김영옥, 김주희, 황병주, 이유철, 한영인, 홍혜은, 오창룡, 남미자, 이은지, 김효영, 이 소, 이나라, 장정일, 최유미 지음 ㅣ 도서출판 b 편집부 엮음

    2022-03-15

    130 x 190mm l 399쪽

    15,000

    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5 Next
/ 1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