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도서목록

문학 이후의 문학

부제목 고봉준 문학평론집
시리즈 트랜스필 총서 2
기타사항 2020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학나눔 선정
출판일 2020-01-20
저역편자 고봉준
출판사 도서출판 b
가격 24,000
도서규격 양장본 | 430쪽 | 152x224mm
ISBN 979-11-89898-18-2
구매처

k712636131_1.jpg

 

■  이 책을 발행하며

 
문학평론가 고봉준이 5년 만에 평론집을 펴냈다. 그의 다섯 번째 평론집이다. 지난 5년이라는 시간은 ‘세월호’와 ‘촛불’이라는 상징적 사건과 함께 우리 사회를 크게 바꿔놓은 시간이다. 그 사건들은 정치에 대한 대중들의 감각을 뒤흔들어 놓았다. 거기에 ‘미투’ 운동을 계기로 표면화된 페미니즘 담론이 더해지며 한국문학은 창작과 비평 모두에서 새로운 시각을 가져왔고 그것은 불가역적인 변화를 이끌었다.
 
고봉준은 시 전문 비평가라 해도 좋을 만큼 한국시 읽기에 천착해왔다. 이번 평론집에서도 역시 한국시에 대한 애정 어린 독해와 곡진한 사유로 가득하다. 평론집은 3부로 나뉘어 29편의 비평으로 구성되었다.
 
제1부에서는 한국시의 좌표 찾기에 초점이 놓인 글들이라고 할 수 있다. 거대한 사회적 변화 속에서의 한국시의 현황을 살피며 나아갈 방향을 가늠하고 있는 글들이다. 특히 ‘세월호’에 대한 한국시의 대응을 심도 있게 읽어나간다. 또한 그러한 변화의 질곡 속에서 비평가로서의 자의식이 실린 문학의 관점에 대한 고민이 진지하게 흐른다. 그것은 예술적, 미적, 윤리적, 사회적인 총체적 범주에서 이루어진다. 그는 “최근의 한국문학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변화는 문학, 특히 시가 대중적인 영향력을 회복한 것과, 문학장(場)에서 ‘비평’의 영향력이 크게 줄었다는 점”을 환기시키며 비평의 역할에 대한 고민도 덧붙인다.
 
제2부에서는 젊은 신예시인들의 시 읽기를 하면서, 감정, 서정, 정동(affect), 알레고리 등 문학의 기본적 개념들에 대한 재정립을 시도하고 있다. 가령, “우리는 ‘분노’가 우리 시대의 대표적인 ‘정동’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그 규정은 오늘의 문학, 특히 시에는 잘 어울리지 않는다. 몇몇 시인이 작품에 분노의 감정을 투사하고 있으나, 지금 한국시의 주력으로 평가되는 젊은 시인들의 시에서 ‘분노’의 감정이 표면에 드러나는 장면을 찾기는 힘들다.”는 진술은 오늘날 달라진 문학지형 속에서 근본적인 수준에서의 비평의 원리에 대한 사유를 담고 있다.
 
제3부에서는 최승자, 송재학, 나희덕, 유강희, 함기석 등의 시 읽기가 중심을 이루고 있는데 한국시단의 중견시인들이라고 할 수 있는 이들의 다양한 문학적 경향은 한 비평가가 결코 한데 어우르기 쉽지 않은 시도이다. 이것이 가능한 것은 아마도 고봉준의 비평 의식이 이전 시대에 횡행했던 문학적 경향에 대한 예각화와 일정한 거리를 두기 때문으로 보인다. 새로운 한국시에 대한 내재적인 고민이 물씬 느껴지는 지점이다.
 
시는, 특히 한국시는 매 시기마다 변화하는 현실에 대한 발 빠른 응전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고봉준은 한국시에서 한국의 현실에 대한 나름대로 충만하게 담겨 있는 예술적 이해를 읽어내고 있다. 한편에서는 그럴 때마다 ‘문학의 위기’를 말하는 논자들도 있지만, 그것마저 끌어안으며 한국시에 대한 반성과 전망을 담아 미래의, 즉 문학 이후의 문학을 고민하고 사유하는 비평의 존재가치가 여전히 유효하다는 점을 고봉준의 이번 평론집은 잘 보여주고 있다.
 
■  지은이 소개 
 
고봉준
1970년 부산에서 태어나 충렬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89년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입학했다. 1995년 같은 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 입학해 <해방기 전위시의 양식 선택과 세계 인식>으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2005년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한국 모더니즘 문학의 미적 근대성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0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문학평론이 당선되어 등단했으며, 2006년 제12회 고석규비평문학상, 2015년 제16회 젊은평론가상을 수상했다. 지은 책으로는 ≪반대자의 윤리≫, ≪다른 목소리들≫, ≪모더니티의 이면≫, ≪유령들≫, ≪비인칭적인 것≫, ≪고유한 이름들의 세계≫ 등이 있다. 현재 계간 ≪문학선≫, 계간 ≪포지션≫의 편집위원을 맡고 있으며,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  차례 
 
책머리에 5
 
제1부
문학은 무엇이었는가를 다시 묻는 일 15
죽었는데, 우리는 왜 말을 합니까
―시적 애도는 어떻게 가능한가 25
애도, 재현불가능성, 문학의 공간 43
비평의 자리 57
한국문학, 변화의 문턱과 징후들 71
미적인 것과 윤리적인 것 87
미학주의를 위한 변명 95
예술로서의 삶 105
혁명의 예술, 예술의 혁명 117
 
제2부
텍스트를 앓는 시간 131
감정의 옆, 또는 뒤에서
―젊은 시인들의 첫 시집을 읽는 한 가지 방식 137
네 개의 목소리에 대한 단상들
―이다희, 한연희, 정다연, 이설빈의 시 157
분노의 시대, 분노하지 않는 시 179
알레고리적 해석의 시종 195
증발하는 세계와 폐쇄되는 세계
―‘정동’이라는 문제에 대하여 211
시와 헤테로토피아 225
서정의 고고학 233
 
제3부
이상한 나라의 탈옥수들
―함기석 시세계의 문학적 공리들 253
바깥의 시
―홍일표, <나는 노래를 가지러 왔다> 269
둘이면서 하나, 하나이면서 둘
―유강희, <고백이 참 희망적이네> 287
세상이라는 이름의 그림자극
―이해존, <당신에게 건넨 말이 소문이 되어 돌아왔다> 303
최승자적인 것
―생존 증명으로서의 시 쓰기 321
불혹, 비상구가 없는 생의 시간
―하린, <서민생존헌장> 337
검은색에 대한 사유
―2000년 이후의 송재학 시 읽기 353
나비, 그 아름다운 비문
―박지웅, <빈 손가락에 나비가 앉았다> 363
무한한 변이들
―김언의 시세계와 ‘언어’ 381
[보유] ‘주체’의 불가능성에 대하여
―김언의 시세계 391
토비아의 시대는 어디로 갔는가
―이재연, <쓸쓸함이 아직도 신비로웠다> 399
삼킬 수 없는 것들
―<야생사과> 이후 나희덕의 시세계 415
 
■  본문에서
 
문학이란 무엇이었는가. 이 질문은 이중적 진술이다.
 
P. 15~16
문학이란 무엇이었는가. 이 질문은 이중적 진술이다. 여기에는 상반되는 두 가지 느낌이 동시에 함축되어 있다. 이 문장을 과거에 대한 현재의 우위라는 관점에서 이해할 때, 그것은 과거와 현재의 단절에 대한 긍정이거나 과거에 대한 회고적 태도로 간주된다. 반면 현재에 대한 과거의 우위라는 관점에서 이해할 때, 이 문장은 과거와 현재의 단절을 부정적으로 판단하거나 현재의 문학에 대한 비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하지만 ‘문학’은 결코 대문자로 존재하지 않으며, ‘문학’은 불변의 자기동일성을 소유하고 있지도 않다. 나는 문학이 자기동일성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즉 어떤 것도 본질적인 차원에서 ‘문학임’을 규정할 있는 근거일 수 없기 때문에, 잠재적으로 모든 것은 문학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것이 문학의 민주주의이다. 엉뚱한 이야기일지 모르지만 문학의 민주주의는 정치적인 민주주의에 대해 이야기하는 문학이 아니라 형식, 내용, 표현의 층위에서 모든 것들이 ‘문학임’을 주장할 수 있는 그 열린 가능성을 가리키는 말이다. 더불어 ‘문학’은 어디까지나 역사적 산물이다. 모든 시대는 ‘문학’을 규정하는 고유의 방법을 갖고 있었으며, 거기에는 항상 ‘영향에의 불안’에서 벗어나려는 탈주선도 있기 마련이다. 우리는 모든 시대를 관통하는 ‘문학’에 대한 불변의 법칙을 알지 못한다. 개인적인 취향이나 잣대에 따라 훌륭한, 좋은, 위대한 등의 수식을 붙일 수는 있지만, 불행하게도 우리에게는 ‘문학’과 ‘문학 아닌 것’을 판별할 수 있는 프로쿠루테스의 침대가 없다. 우리가 ‘문학’에 관해 합의할 수 있는 것은 고작 그것이 ‘언어’ 예술이라는 게 전부이다.
 
P. 59~60
지난 90년대 후반부터 ‘문학’을 둘러싼 환경은 변화의 질주를 거듭해왔다. 문화에 대한 자본의 지배, 즉 ‘문화산업’의 출현과 인터넷을 포함한 미디어와 매체의 변화가 이것을 추동했다. 그 결과 문학출판에서 규모의 경제가 시작되었고, 출판상업주의가 심화되었으며, 문학의 생산-유통(광고)-소비 방식 전반에 커다란 변화가 초래되었다. 앞의 두 가지는 한국 문단에서 ‘문학외적인 것’으로 간주되어 논의되지 않고, 마지막 한 가지는 우리에게 아직 그것을 조망할 능력이 없는 듯하다.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이 변화가 상대적으로 ‘창작’에 더 커다란 흔적을 남기고 있다는 것인데, 이는 시장과 직접적으로 대면해야 하는 창작과 달리 ‘비평’은 학계 또는 대학이라는 또 다른 진지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오늘날 비평이 존재감을 상실하게 된 이유 가운데 하나도 탈脫제도적이어야 할 비평이 ‘대학’이라는 제도의 그늘을 벗어나지 못하는 것, 비평적 욕망의 벡터가 ‘대학에서 평단으로’가 아니라 ‘평단에서 대학으로’의 방향이어서 비평(가)의 종착지가 ‘대학’이라는 안정적인 직장으로 귀결되는 현실에서 찾을 수 있다. 대학은 많은 비평가들에게 일용할 양식을 제공하지만, 바로 그 방식을 통해 ‘비평’을 위기에 빠뜨리고 있다. 거대한 변화의 가운데에서 ‘창작’이 시장에서 자신의 존재감을 입증하려고 분투한 반면, ‘비평’은 전면적으로 ‘대학’으로 후퇴하기 시작했다는 것, 이 현상의 원인을 어디에서 찾든 그것이 비평의 ‘쇠락’에 대한 증거임은 분명하다.
 
P. 90~91
예술과 윤리는 대립하지 않는다. 현대문학에서 ‘윤리’가 강조되는 것은 타인과 세계에 대한 도덕적 판단을 요청하는 것과 아무런 관련이 없으며, 문학이 도덕적으로 권장되거나 정당화될 수 있는 내용을 담으라는 요청과도 무관하다. 20세기 이후의 문학은 지속적으로 ‘타자적인 것’에 관심을 기울여왔다. ‘타자적인 것’은 한 개인의 내면에 은폐되어 있는 ‘무의식’에서부터 국민국가시스템이 생산한 비국민에 이르기까지, 가부장적 사회의 타자인 ‘여성’에서부터 신자유주의적 상황에서 등장한 ‘이방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변주되면서 현대문학의 중요한 사유 대상이 되었다. 현대문학은 반복적으로 소설의 주인공은 물론 그것을 읽는 독자 모두를 ‘타자’와 마주하는 윤리적 상황으로 이끌어간다. 이 상황은 작가와 독자 모두에게 새로운 응답과 책임을 발명할 것을 요청한다. ‘윤리’란 정확히 말하면 이 새로운 응답과 책임의 발명이 요청되는 상황에 부여된 이름이다. 그러므로 모든 ‘윤리’는 타자에 대한 윤리일 수밖에 없다. 이때 ‘응답’이나 ‘책임’이라는 말을 기존에 존재하는 기성의 것, 나아가 법률적인 의미의 책임으로 해석해선 안 된다. 그것들은 현대의 정치학·철학적 사유의 요구를 회피한다는 점에서 차라리 무책임에 가깝다. 보장된 윤리는 윤리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윤리’에 불만을 가진 사람들의 상당수는 그것을 이항적인 선택의 문제로 환원하려는 태도를 보인다. 즉 근대 이후 예술과 윤리는 별개의 영역이어서 예술을 윤리로 판단할 수 없으며, 궁극적으로 윤리와 분리된 예술만이 진정한 예술이라는 것, 따라서 근대 이후의 예술이 추구해야 할 것은 윤리가 아니라 미학적 가치라는 주장이 그것이다. 이러한 이해구조 속에서 ‘윤리’에 대한 모든 강조는 전근대적인 권선징악의 잔재로 이해되어 부정적 대상으로 분류된다. 
 
■  지은이의 말
 
지난 5년 ‘세월호’와 ‘촛불’은 우리 사회를 크게 바꿔놓았다. 그 사건들이 우리 사회의 불평등.부정의의 실체를 드러내어 정치에 대한 대중의 감각을 뒤흔들어 놓은 것은 부정할 수 없으리라. 하지만 ‘세월호’와 ‘촛불’로 인해 바뀐 것은 정치만이 아니다. 지난 5년의 시간 동안 한국문학 또한 불가역적인 변화를 겪었다. 세대와 감수성의 층위 모두에서 우리 시대의 문학은 ‘세월호’ 이전의 문학과 선명한 긴장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이 사건들을 지나오면서 누군가는 무능력한 언어로 인해 무너져 내렸고, 또 누군가는 자신이 굳게 지켜온 문학에 대한 기준과 믿음이 뿌리째 흔들리는 고통을 경험했다.
 
나는 지난 5년 동안 우리 시대가 마주한 사건들은 문학에 대한 우리의 생각을 전면적으로 바꿔놓았다고 생각한다. 특히 2016년 ‘강남역’ 살인사건과 ‘미투 운동’을 계기로 표면화된 페미니즘 담론은 문학의 창작-소비-비평 시스템에 새로운 시각을 가져왔다. ‘문학 이후의 문학’이라는 제목은 이런 일련의 변화된 감각을 표현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다. 90년대의 저 유명한 ‘포스트’ 논쟁이 증명하듯이 ‘이후’는 ‘나중-시간’의 기호이면서 ‘단절/변화’의 기호이기도 하다. ‘이후’라는 명칭이 문제적인 까닭은 ‘나중-시간’과 ‘단절/변화’ 가운데 하나를 선택할 수도, 나아가 그것들이 매끄럽게 분리되지도 않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문학 이후의 문학’이라는 제목을 사실판단보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읽기를 부탁드린다.

  1. 바깥의 문학

    트랜스필 총서 5

    송승환, 이진경, 진은영, 최진석 지음 ㅣ 송승환 엮음

    2022-05-30

    반양장본ㅣ130 x 190mm l 253쪽

    14,000

    5

    Read More
  2. 감응의 유물론과 예술

    트랜스필 총서 4

    권용선, 송승환, 이진경, 최유미, 최진석, 현영종 지음 | 최진석 엮음

    2020-07-10

    반양장본ㅣ256쪽ㅣ130 X 190mm

    14,000

    004

    Read More
  3. 해러웨이, 공-산의 사유

    트랜스필 총서 3

    최유미

    2020-06-10

    양장본 | 303쪽 | 152x224mm

    22,000

    003

    Read More
  4. 문학 이후의 문학

    고봉준 문학평론집

    트랜스필 총서 2

    고봉준

    2020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학나눔 선정

    2020-01-20

    양장본 | 430쪽 | 152x224mm

    24,000

    002

    Read More
  5. 김시종, 어긋남의 존재론

    트랜스필 총서 1

    이진경

    2019 한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2019-08-05

    양장본 | 430쪽 | 152x224mm

    26,000

    00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