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도서목록

스님, 제 생각은 다릅니다

부제목 도법 묻고 담정 답하다
출판일 2021-12-15
저역편자 도법 + 신상환 지음
출판사 도서출판 b
가격 16,000
도서규격 반양장본 | 152 X 224mmㅣ269쪽
ISBN 979-11-89898-66-3 03220
구매처

a3b2d77294c3da089b295369aecdeb4c (1).png

 

 

“실천불교와 교학불교의 중(中)과 중도(中道)에 대한 대담”

 

 

1. 이 책을 발행하며

 

한국 실천불교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실상사 도법 스님과 중관학자인 담정 신상환이 2019년 봄부터 2020년 가을까지 10여 차례 만나서 중(中)과 중도(中道)에 대한 대담을 나눴다. 실천불교와 교학불교를 각각 대표할 수 있는 두 지성의 대담이다. 그 결과물을 묶은 것이 이 책 <스님, 제 생각은 다릅니다>이다. 

 

이 책은 크게 3부로 편성되었다. 제1부는 중도로 부처님 생애에 대해서, 제2부에서는 중도로 불교와 중관사상의 기본 교리를, 제3부는 중도로 한국 불교를 논한다. 그리고 책 뒤에는 중과 중도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참고 자료를 덧붙였다. 

 

이 책에서 도법 스님은 불교적 실천을 중도행이라 부르고 있다. 1970년대 선방에서 비롯된 깨달음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1990년대부터 지리산 실상사를 중심으로 생명 평화 운동을 시작한 이후 지금까지 살아 있는 불교의 필요성에 강조의 방점을 찍는다. 이와 달리 신상환은 중도라는 그 이름마저도 방편교설로 가설적인 것, 희론(戱論)이라 부르는 중관학파의 태도로 일관한다. 

 

연기법의 핵심이 중도라고 주장하는 도법 스님과 연기실상의 체화와 언어의 한계를 강조하는 신상환은 이 문제에 대해 치열하게 논쟁하면서도 실천 불교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모두 인정하고 있다. 실천불교를 위해서 명확한 개념 정리를 바탕으로 한 교학불교를 강조하는 신상환과 달리 도법 스님은 그것이 현실 속에서 대중들에게 쉽고 명확하게 이해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두 대담자는 실천의 중요성, 삶의 변화에 유용한 불교를 강조하지만, 그것을 대하는 각자의 자세는 다르다. 최소한 이 둘이 주고받는 대담 속에서 부처님의 생애에 대한 철저한 탐구와 경론의 다양한 해석, 그리고 ‘중과 중도’가 다른 것임을 경론을 통해 보여주는 ‘참고 자료’ 등은 한국 불교의 발전을 위한 대담임에는 틀림없다. 

 

 

2. 지은이 소개

 

■ 도법

1949년 제주에​서 태어난 스님은 열여덟​살 때인 1966년 금산사​에서 출가하​였고, 199​0년 청정 불교 운동을 이끈 개혁 승가 결사체​인 선우도​량을 시작으로, 인드라​망 생명​공동체​를 창립하​여 귀농운​동, 생활협​동조합,​ 대안​교육, ​환경운동 등을 펼쳐왔다. 2004년부터 생명 평화를 주제로 전국을 탁발 순례하며 5년간 2만8천 리 길을 걸으며 8만여 명을 만났다. 조계종 화쟁위원장, 백년대계운동 본부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인드라망생명공동체 상임대표와 지리산 실상사 회주로 지내고 있다. 저서로는 화엄경​과 생명의 길, 내가 본 부처, 그물코 사랑 그물코 인생, 붓다, 중도로 살다 등이 있다.

 

■ 신상환

1968년 전남 광양에서 태어나 1993년 아주대학교 환경공학과를 졸업하고 인도로 떠나 2013년에 영구 귀국하였다. 1980년대 학생 운동 후 인도로 떠나 타고르대학으로 알려진 비스바 바라띠대학에서 티벳어, 산스끄리뜨어 등의 언어를 공부하였고, 캘커타대학에서 용수보살의 중관사상을 전공하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비스바바라띠대학의 인도-티벳학과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티벳 스님 등에게 중관사상을 가르쳤다. 현재 곡성 지산재에서 중관학당을 열어 중관사상 선양을 위한 역경(譯經)과 강의 등을 하고 있다. 저서로는 용수 보살의 중관사상에 대한 용수의 사유, 대표적인 역서로는 용수 보살의 6대 저작인 중론(中論), 회쟁론(回諍論) 등의 모음인 중관이취육론(中觀理聚六論)이 있다. 

 

 

3. 차례

 

ㅣ서문ㅣ

도법 스님: 친구 따라 강남 간다 9

담정 신상환: 강남 땅값이 비싸 강을 건너기로 했다 17

 

제1부 중도로 부처님 생애를 논하다 

인도 사상의 근간인 업과 윤회 23

부처님의 가르침은 응병여약, 표월지지 33

부처님께서 사용하신 언어 36

부처님의 상가 운영과 중도의 실천 38

부처님의 제자들에 대한 해석 43

 

제2부 중도로 불교 교리를 논한다

1. 부처님의 반열반 이후의 불교 53

역사 해석의 공시성과 통시성 53

경론의 형성과정 55

대승불교의 출발점 57

교학의 체계화는 무아이론에서부터 60

2. 중도로 중도를 논하다 83

중도와 여실지견 89

‘중도’라는 개념의 위치 100

전통에 따른 중도의 역사적 해석과 차이 108

다시 부처님의 재세 시로 134

본래법인 연기법? 139

십이연기와 삼세양중인과 147

 3. 중론과 이제론 151

부처님과 14난 151

용수와 부처님, 그리고 시대 상황 156

용수의 사유와 중론 160

이제론 171

 

제3부 중도로 한국 불교를 논하다

선의 과잉 문제 197

한역 경전권 불교의 변화 선종과 교종 199

선종 이전의 중국 불교 200

21세기 불심관을 어떻게 세울 것인가? 206

 

  ㅣ참고자료ㅣ 중과 중도에 관하여 213

 

 

4. 본문에서

 

담정: 내가 관심을 기울이는 부분은 스님의 중도의 실천행이 아니다. 스님께서 중도를 여실지견이라고 말씀하시는 순간, 이론적인 문제는 이론적인 문제로 해결해야 하는데 그렇지 않아서, 어떤 문제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지금 스님은 연기 실상의 세계와 언설(言說)의 세계의 경계를 흩뜨리고 있다. 중도를 여실지견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진보가 아닌 후퇴다! -(94쪽)

 

도법: 나는 붓다의 가르침에 따라 중도적으로 접근하면 복잡하지 않게 진실을 잘 드러냄으로써 문제를 잘 정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렇게 하는 것을 ‘여실지견행(如實知見行)’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잘 알다시피 여실이라는 말은 내가 만든 개념이 아니고, 경전에 있는 개념이다. 나는 ‘있는 그대로!’라는 말의 뜻을 이렇게 해석하고 있다. -(97쪽)

 

도법: 중도는 가야 할 길이고, ‘중’은 있는 그대로의 사실. 그렇게 보면 되지 않을까? 여실지견을 중도행의 하나로 보면, 여기서 보는 것은 행위이고 그 과정에서 드러난 것이 연기라고 볼 수 있지 않을까? 그렇게 하면 붓다 생애의 맥락과도 잘 맞는다고 여겨진다. -(118쪽)

 

담정: 그것은 그야말로 스님의 자의적인 해석이다. 스님은 지금까지 우리가 추적해왔던 중과 중도의 차이를 다시 뭉뚱그리고 있다. 중과 중도는 다른 것이다! 

중도는 딱 하나다. 팔정도의 다른 이름일 뿐이다. 그것이 중도가 경전에 등장하는 유일무이한 장면이다. -(119쪽)

 

담정: 본질적인 것이 있다는 것. 또는 사성제를 강조하기 위한 수식어 정도였을 것이다. 그렇지만 용수 보살 이후, 중기 중관파를 지나면서 이제론은 사성제보다 더욱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를 잡는다. -(181쪽)

 

도법: 나는 이제로 설명하고자 하는 내용이 표월지지라고 본다. 달은 진제, 손가락은 속제인 것이다. …… 담정이 21세기 중론을 저술했으면 한다. 그러면 좀 더 명료해질 것 같다. 우리는 불교를 파사현정(破邪顯正)의 가르침이라 한다. 담정에게 논파라는 말을 많이 듣는데, 그 논파도 바로 이 파사현정을 위한 것 같다. -(182~183)) 

 

담정: 그렇다. 스님 말씀처럼 중론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논파’라는 말보다는 먼저 ‘고통에서 벗어남’이라는 부처님의 뜻을 명심해야 한다. -(183쪽)

 

 

5. 지은이의 말

 

좌충우돌하며 내 식의 불교를 해온 사람이 중론 공부하는 사람들의 모임에 끼어 강의를 듣고 이야기를 나누었다. 대부분은 아는 내용이었으나 어떤 내용은 새로운 것이라 혼미했던 것들이 ‘아, 그렇구나!’라고 명료해지기도 했다. 어떤 내용은 ‘현장 삶의 문제와 직접 연결되어 바로 경험이 되는 불교 또는 중론 공부를 하고 있지는 않구나’라고 아쉽기도 했고 실망스럽기도 했다. 그러면서도 불쑥 묻고 따지기도 하면서 함께 했다. 아는 것은 아는 대로, 새로운 것은 새로운 대로, 모르는 것은 모르는 대로, 동의 되는 것은 동의 되는 대로, 동의 안 되는 것은 안 되는 대로, 실망스러운 것은 실망스러운 대로 함께 했다. 가끔은 동문서답하듯이 물어보기도 하고 따져보기도 하고 주장해보기도 했다. -도법 <서문>에서

 

실상사 도법 스님을 찾은 혜봉 선생이 이런저런 담소를 나누다 ‘중관학자 신상환’이라는 이에 대한 말이 나왔다고 한다. 그 옆에 앉아 있던 실상사 주지인 승목 스님이 ‘얼굴 한번 보자!’라고 바로 전화를 걸어왔던 게 이 법석의 첫 단추였다. ‘도법 스님’이란 이름을 모를 리 없었으나 항상 반대편에 서 있었던 듯싶다. 종단 개혁 때 강원을 승가대학으로 바꾸면 안 된다고 주장한 지운 스님 편에 서 있었고, ‘담을 없애면 담 밖의 것도 내 것’이라며 공동체 운동에 비판적인 종림 스님 편에 서 있었다. 그러다 보니 도법 스님과 직접 만나 말 한번 나눌 기회도 없었다. 스님과 법담을 계속 나눌 동력을 제공해준 건 실상사를 출입하던 중관학당의 스텝이었다. 스님이 중도를 강조하는 만큼, 그것이 과연 얼마만큼 여법한 것인지를 가늠해보고자 여러 차례 법담을 나누었다. -신상환 <서문>에서

 


  1. 코뮨의 미래

    현대 사회와 비판적 사회철학의 전망

    이성백 교수 정년기념논총 간행위원회 엮음

    2022-11-25

    양장본ㅣ140 x 196mm l 319쪽

    26,000

    14

    Read More
  2. 루만 개념사전

    GLU: Glossar zu Niklas Luhmanns Theorie sozialer Systeme

    클라우디오 바랄디 + 지안카를로 코르시 + 엘레나 에스포지토 지음ㅣ심철민 옮김

    2022-02-15

    양장본ㅣ140 x 196 l 389쪽

    28,000

    13

    Read More
  3. 스님, 제 생각은 다릅니다

    도법 묻고 담정 답하다

    도법 + 신상환 지음

    2021-12-15

    반양장본 | 152 X 224mmㅣ269쪽

    16,000

    12

    Read More
  4. 프레임 혁신 : 디자인을 통해 새로운 생각을 창조하기

    Frame Innovation: Create New Thinking by Design(2015)

    키스 도스트 지음 | 이성민 옮김

    2020-06-26

    295쪽 | 152 X 223mm

    16,000

    012

    Read More
  5. 자연의 위반에서 자연의 유희로

    계몽주의와 낭만주의 시기 프랑스의 괴물논쟁

    이충훈

    2021-04-23

    양장본 | 358쪽 | 140x190mm

    18,000

    010

    Read More
  6. 대의각미록

    옹정제 지음 | 이형준, 최동철, 박윤미, 김준현 옮김

    2021-06-22

    양장본 | 478쪽

    24,000

    009

    Read More
  7. 중관이취육론 세트 전3권

    중론 / 회쟁론 외 / 보행왕정론

    용수 지음ㅣ신상환 옮김

    2018-05-25

    양장본 | 1208쪽 | 152 X 224mm

    90,000

    008

    Read More
  8. 보행왕정론

    중관이취육론 3

    용수 지음ㅣ신상환 옮김

    2018-05-25

    양장본 | 430쪽 | 152 X 224mm

    30,000

    007

    Read More
  9. 회쟁론 • 세마론 • 육십송여리론 • 칠십공성론

    중관이취육론 2

    용수 지음ㅣ신상환 옮김

    2018-05-25

    양장본 | 415쪽 | 152 X 224mm

    30,000

    006

    Read More
  10. 중론

    중관이취육론 1

    용수 지음ㅣ신상환 옮김

    2018-05-25

    양장본 | 363쪽 | 152 X 224mm

    30,000

    005

    Read More
  11. 국가와 주체

    라캉 정신분석과 한국정치의 단층들

    신병식

    2017-04-04

    양장본ㅣ509쪽ㅣ152x224mm

    28,000

    004

    Read More
  12. 인류 문명사의 전환을 위하여

    김낙중

    2013-10-25

    반양장본ㅣ207쪽ㅣ145x210mm

    13,000

    003

    Read More
  13. 용수의 사유

    신상환

    2011 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

    2011-02-25

    양장본ㅣ479쪽ㅣ155x231mm

    28,000

    002

    Read More
  14. 사랑과 연합

    이성민

    2011-01-30

    양장본ㅣ368쪽ㅣ150x218mm

    20,000

    00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위로